5월들어 가장 많이 떡상한 코인 이더리움 클래식에 대해 알아보자!
이더리움 클래식은
최초발행 : 2016년 7월
시가총액 : 6.6조원
합의 프로토콜 : PoW
총 발행한도 210,700,700
코인 소개
이더리움클래식은 이더리움의 하드포크로 인해 생성된 다른 블록체인에 기초한 디지털 자산입니다. 하드포크란 인위적으로 블록체인을 분절하는 작업을 의미하는데, 이더리움클래식의 하드포크는 2016년 7월 20일에 단행되었습니다.
이는 2016년 6월 어떤 사람 혹은 사람들이 이더리움 플랫폼에 기반을 둔 주요 프로젝트 중 하나인 다오(DAO) 시스템상의 코드 오류를 이용해 부당이득을 취한 사건에서 시작합니다. 이더리움 개발팀은 잘못된 거래기록을 무효화시켜 투자자들에게 돈을 다시 돌려주기 위해 체인을 오류 이전 상태로 되돌려 새로운 체인을 만들어 나가기로 했습니다.
그러면 기존에 해킹당한 체인은 소멸해야 하는데, 하드포크에 반대하던 약 10%의 사람들이 업데이트하지 않고 잔류하며 블록을 생성했고 이것이 이더리움 클래식의 블록체인이 된 것입니다. 즉, 도난된 이더리움이 포함된 원래의 블록체인이 이더리움 클래식이라는 다른 블록체인이자 코인으로 정착한 것입니다.
코인 특징
1. "코드는 법이다(Code is law)"라는 신념 하에 블록체인의 중심가치인 "불변성"을 최우선으로 중시합니다. 불변성이란 유효한 거래라면 지워지거나 잊히면 안 된다는 것을 의미하고, 이들이 이더리움 DAO 사태 이후 하드포크 하지 않고 기존 체인에 잔류한 이유 중 가장 큰 부분을 차지합니다.
2. 이더리움 클래식은 이더리움의 기존 인플레이션 정책(무제한 발행)에서 비트코인과 같은 고정 공급방식으로 통화발행정책을 변경했습니다. 그래서 최대 발행량이 2.3억 개로 제한되어있고, 총 공급은 약 2.1억 개가 될 것으로 예상합니다. 채굴 보상은 500만 블록마다 20%씩 감소합니다.
핵심 가치
(키워드: 스마트 컨트랙트, DAPP을 통한 플랫폼의 확장성)
이더리움 클래식은 포크되지 않은 기존의 블록체인을 유지한 것이기 때문에 사용하는 프로토콜이나 기술들은 이더리움과 동일합니다. 따라서 이더리움 플랫폼의 핵심인 스마트 컨트랙트와 플랫폼 위에 탈중앙화 앱(DAPP)을 개발할 수 있는 기술은 이더리움 클래식 플랫폼에서도 똑같이 적용됩니다. 현재 이더리움 클래식 플랫폼 위에서 운영되는 코인은 Corion platform(COR), ETCWin(ETC), GeoFunders(GUNS) 등이 있습니다.
대표인물
찰스 호스킨스(Charles Hoskinson), 이고 알타모노프(Igor Artamonov), 게빈 우드(Gavin Wood)
이더리움의 초기 모델
2016년 7월 20일 이더리움의 하드포크로 새로운 블록체인이 생기면서 탄생함
이더리움이 DAO해킹 상태를 해결하기 위해 하드포크를 하기전의 블록체인을 기반으로 성장된 코인
해킹을 당하면 기존의 체인이 소멸되어야 하지만 하드포크에 반대하던 약 10%의 사람들이 업데이트를 하지 않고
잔류하면서 블록을 생성했었고, 이것이 이더리움 클래식의 블록체인이 된것이다.
★ 하드포크 : 기존의 블록체인과 호환되지 않는 새로운 블록체인이 형성되는 것
- 채굴속도가 비트코인,이더리움보다 훨씬 빠름
★ 비트코인 < 이더리움 < 이더리움 클래식
- 블록체인 기술 외 사이드체인 가능이 있음
- 체인링크와 협업하여 블록체인 밖의 데이터 서비스도 안전하게 활용하게 할수 있음
이더리움클래식 기능 및 특징
1. 발행량이 적은편
PoS로 전환되지 않으며, 최대 발행량을 2억 3천개로 정제한되어 있으며, 총 공급은 약 2억 1개가 된다.
-발행량이 적은 이더리움의 초기버전-
2. 이더리움 Vs 이더리움 클래식
이더리움 - 해킹 사건 이후 새롭게 발행된 이더리움을 포함한 블록체인
이더리움 클래식 - 해킹이 일어난 원래의 블록체인 ( 도난된 이더리움 포함)
3. 스마트 컨트랙트, Dapp
이더리움 클래식은 포크되지 않은 기준의 블록체인을 유지한 것이기 때문에 사용하는 프로토콜이나 기술들은 이더리움과 동일함
이더리움 클래식 플랫폼의 핵심인 스마트 컨트랙트와 플랫폼 위에 탈중앙화 앱 (Dapp)을 개발할 수 있는 기술은 이더리움 클래식 플랫폼에서도 똑같이 적용
현재 이더리움 클래식 플랫폼 위에서 운영되는 코인은 Corion platform, ETCWin, GeoFunders 등이 있음
이더리움 시세
이더리움 클래식은 이더리움과 같이 흘러가는 추세이다.
다른 분석 영상들을 보면 이더리움은 500만원까지는 거든히 갈 수 있을 것이라는 분석이 우세하다.
이더리움 클래식은 단기투자로, 이더리움은 장기투자의 관점으로 봐도 될것 같다
현재 이더리움의 시가총액은 421.6조원이고, 총 발행한도는 제한이 없다. 합의 프로토콜은 PoW(전환계획)이며,
채굴 보상량은 5ETH이다.
이더리움에서는 다양한 어플리케이션들을 구동 시킬수 있으며, 이런 Dapp들은 금융, 공유경제, SNS, 탈중앙화 자율 조직까지 확장될 수 있다.
비트코인의 제한된 명령어와는 달리 다양한 수준의 응용을 지원하기 위해 Python과 유사한 구조의 Serpent,
C++과 유사한 Solidity,Lisp과 유사한 LLL등의 튜링 완전 언어를 통해 스마트 컨트랙트 코딩을 지원한다.
사용자들은 이런 프로그래밍 언어를 사용해 컨트랙트와 Dapp을 만들수 있는 것임
발행한도는 제한되어 있지만 1년 발행할 수 있는 코인은 1,800만개로 제한되어 있다.
인플레이션을 고혀래 채굴 난이도 알고리즘에 변화를 주기 떄문에 코인의 발행은 일정하지 않다.
블록 주기를 조정하는 역할을 하며, 기본적으로 정해져있는 알고리즘 공식과 상호 작용해서 발행량을 유동적으로 조절한다.
재닛 옐런 미국 재무장관의 금리인상 발언으로 비트코인과 이더리움의 상승세가 잠시 주춤했으며, 오히려 이더리움 클래식은 신고가를 경신했다.
이더리움 클래식은 5일 9시 기준 전일 종가대비 10% 오른 9만 5000원에 거래되었으며, 계속 신고가를 경신중이다.
IoT 분야에서 활용될것으로 기대되는 주목받는 가상화폐 중 하나!
수익인증
많은 금액은 아니지만 소소하게
이더리움 클래식 52프로
이더리움 9프로 이익을 보고있네요..
저와 같이 가상화폐 공부하실분은 구독 해주세요^^
'▶▶가상화폐 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비트코인골드 <정보,시세,호재> (투자방법!!) (0) | 2021.05.06 |
---|---|
:)) 비트코인캐시 <시세,전망,호재> (0) | 2021.05.06 |
도지코인(시세,전망)을 알아보자! (Feat.일론머스크) (0) | 2021.05.05 |
:))클레이튼 코인이란??(카카오 업비트 상장 임박, 호재!) (0) | 2021.05.05 |
"네오 코인" 전망과 분석!!(중국대륙의 힘) (0) | 2021.05.04 |
댓글